⚠️
Disclaimer: 본 보고서의 내용은 작성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토큰을 구매 또는 판매하거나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이 보고서에 포함된 어떠한 내용도 투자 조언이 아니며, 투자 조언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됩니다.

김치 프리미엄은 한국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를 돌아보는 주간 시리즈입니다.


여러분도 저처럼 잠시도 조용한 걸 못 참고 늘 뭔가를 틀어놓는 분이시라면, 유튜브에서 삼성 관련 영상들을 보셨을 겁니다.

네, 바로 그 삼성입니다. 전자제품 제조사이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 말이죠. 혹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말씀드리자면, 삼성그룹의 매출액은 대한민국 GDP 1.67조 달러의 약 22.4%를 차지할 정도입니다. 사우디가 석유로 유명하다면, 우리나라는 갤럭시 폰과 메모리 반도체로 유명하죠.

최근 삼성전자가 한국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는데요. 예상 순이익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반도체 제조사이자 가전제품 설계 기업으로서의 삼성전자의 앞날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상황이 얼마나 심각했냐고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를 이끄는 전영현 부회장이 직접 투자자들에게 사과문을 보내야 했을 정도입니다.

로이터 통신에서 보도합니다:

삼성전자가 3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 것이라고 경고하며, 엔비디아에 고성능 AI 칩 공급이 경쟁사들에 비해 뒤처진 것에 대해 이례적인 사과를 했습니다.

이번 파격적인 사과는 30년간 세계 최대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 자리를 지켜온 삼성전자가 직면한 도전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현재 회사는 기존 반도체와 첨단 반도체 양쪽 모두에서 치열한 경쟁에 직면해 있는 상황입니다.

삼성은 주요 고객사와의 AI 칩 사업이 지연되었다고 밝혔으며, 여기에 중국 반도체 업체들의 기존 칩 공급 확대로 인해 반도체 부문 실적이 하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의 AI 칩 시장 대응 지연으로 인해 수익성이 낮은 기존 반도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고 지적합니다. 이로 인해 중국과의 경쟁과 스마트폰, PC 수요 감소에 더욱 취약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팬데믹 이후 침체기를 겪은 반도체 시장은 현재 AI 서버용 고수익 칩이 회복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은 AI 선도기업인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HBM) 칩을 공급하는 데 있어 SK하이닉스에 뒤처진 상황입니다.
삼성전자 실적 충격에 주가 급락 (왼쪽), 삼성전자 3분기 매출 증가했으나 수익성은 하락세 (오른쪽)

이 실적 쇼크를 숫자로 보면 예상치보다 15% 정도 낮은 수준인데요.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는 그리 큰 충격으로 안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제조업체입니다. 실제 가치 있는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면서 수익을 내는 기업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 모든 상황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실제 삼성전자 직원들의 증언일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동아일보가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 직원과 인터뷰한 내용이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효율성, 즉 변화를 주지 않고 더 쉽게 할 수 있는 것만 하려고 한다. 예전엔 실무자가 의견을 내면 그래도 검토해 보고 위로 올라가는 게 있었는데, 지금은 답이 정해져 있다.

실패를 절대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술적으로 어려운 새로운 건 아예 안 하거나, 아니면 반대로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 선택과 집중 없이 세상이 얘기하는 기술 트렌드는 일단 다 하기도 한다. 괜히 어느 걸 빼놨는데, 경쟁사가 그걸로 뜨면 안 되기 때문이다.

권오현 전 DS부문장(2011~2017년)은 선택과 집중을 하는 편이었다. 건강에 신경 써야 한다면서 ‘스마트 워크(Smart Work)’를 강조했고. 그런데 후임 김기남 전 부문장(2017~2022년)은 마이크로 매니지먼트 스타일이었다. 이재용 회장이 참석하는 ‘토요 주간회의’가 생기더니 일주일 내내 보고용 회의를 하는 문화가 생겼다. 요즘 얘기되는 HBM(고대역폭메모리) 철수 결정도 그때 이뤄졌다.

HBM은 D램을 차곡차곡 쌓는 거다. 당시엔 D램 쪽 입김이 셌으니까 ‘우리는 D램 기술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고 본 거다. ‘집중을 잘해서 D램을 잘 만들면 되지, 뭐 하러 쌓고 있냐. 쌓는 게 쉬운 일도 아닌데’라는 식이었다

재밌죠? 근데 아직 더 있습니다:

사업지원TF. 흔히 ‘HH’라고 부른다. 우리가 ‘서초에 보고 올린다’고 얘기할 때, 그 서초는 HH이다.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부문장이 결정할 수 없는 것도 상당히 많다.

애플이 2019년 아이폰에 삼성전자 모뎀을 넣고 싶어 했다. 당시 시스템LSI 사장은 하고 싶어 했지만 서초에서 ‘노’했다. 아이폰은 갤럭시의 경쟁자인데, 거기에 팔면 아이폰 경쟁력이 좋아질 거라고 본 것. 그때 공급했으면 우리가 (퀄컴을) 잡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그렇다. 보고서 쓸 때 ‘초등학생도 알아들을 수 있게 쓰라’는 지시가 떨어진다. 고등학생도 아니고, 초등학생 수준의 기술 지식을 가진 경영진이 결정하는 게 말이 되나.

기술용어를 최대한 쓰지 않아야 한다. 그게 도저히 안 돼서 기술용어를 써야 하면, 그걸 쉽게 풀어서 밑에다 써준다.

그리고 결정을 위에서 내리기 때문에 보고 라인이 매우 길어졌다. 파트→그룹→팀→개발실→총괄→서초, 이렇게 보고가 올라갔다가 내려온다.

결정도 느리고 중간에 변형이 된다.

만약 실무진이 ‘이 일은 10가지 리스크 중 8~9개가 빨간색(위험하단 뜻)’이라고 보고를 올리면 ‘빨간색을 좀 노란색으로 바꿔’라고 한다. 그래서 노랑으로 바꿔서 한 번 더 보고가 올라갔다 오면 ‘굳이 노란색으로 해야 해. 좀 파랗게 바꿀 수 있는 거 없어’라고 한다. 그리고 한 번 더 올라가면 ‘저거 하나를 꼭 노랗게 해야 해. 너무 거슬린다. 조건을 좀 달아서 파랗게 한번 해봐’라고 한다.

임원들은 당장 내년에 (공급에) 들어가야 자기 실적이 되니까 빨리 가려고만 한다. 어차피 망가지는 건 후임자 때니까. 부서 간 장벽 문제도 마찬가지다. 여러 부서가 함께 일할 때, 가능한 한 자기네 부서 문제는 계속 숨긴다. 그러다 다른 부서에서 문제가 생기면 ‘저것 때문에 안 된다’면서 묻어가려고.

예전부터 이랬나요?

네.

이 삼성 이야기를 듣다 보니 군대 시절이 떠오르네요. 훈련소 수료 후 자대 배치 받았을 때가 아직도 생생합니다. 마치 유치원에 떨어진 것 같은 기분이었죠.

아무도 책임지려 하지 않고, 목적의식도 없고, 관심도 없었습니다. 그저 쉽게 화내는 젊은이들이 뭔가 아는 척하는 집단이었죠. 실수를 눈감아주고 잘못을 덮어주는 게 살아남는 방법이었습니다.

이런 문화는 모든 게 농담처럼 느껴질 정도로 무능한 결과를 낳았습니다. 시스템은 그저 구성원들이 이용하기 위해 존재했고, 아무도 자발적으로 있지 않았죠. 진지한 조직의 반쪽짜리 흉내에 불과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모두가 사기가 떨어져 있었죠.

한때 열정 넘치던 소위 임관 장교들은 흥미를 잃었고, 부사관들은 더 이상 임무를 수행할 의지가 없었습니다. 아무도 정직하지 않기 때문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무도 모르고, 아무도 정직하지 않기 때문에 누구도 신뢰할 수 없습니다.

만약 삼성도 이런 상황이라면, 극단적인 조치로 회사를 재건해야 한다고 봅니다.

한국 크립토 기업들은 어떤가요?

저는 단 두 회사에서만 일해봤고 다른 회사 사람들의 이야기만 들어봤습니다. 대부분의 한국 크립토 기업들이 그렇게 나쁘진 않은 것 같지만, 현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아는 사람이 많지 않아서 인재가 크게 부족한 것 같습니다.

물론 장문의 글을 쓰고 전문용어를 나열할 수 있는 "연구원들"은 있습니다. 하지만 그게 이 시장에서 잊혀지는 가장 빠른 길이죠. 그래서 제가 인재 부족이 (곧) 올 거라고 말하는 겁니다.

제가 보기에 빌더 커뮤니티는 아직 크립토의 투기적 특성을 제품-시장 적합성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습니다. 디젠 빌더들이 없다는 건 아니지만, 많은 빌더들이 여전히 경직된 사고방식에 갇혀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게 나쁜가요? 전혀 아닙니다. 이런 고집스러운 사람들이 오히려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이죠. 제가 말하고 싶은 건 빌더 커뮤니티가 새로운 특성들을 거부하지 말고 더 개방적이어야 한다는 겁니다. 시장이나 산업의 전망에 대해 임의적인 결론을 내릴 순 없고, 변화에 적응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인재 부족은 언어 장벽에서도 비롯됩니다. 크립토는 트렌드가 너무 빨리 변해서 따라가기 가장 어려운 분야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이 산업이 X라는 한 공간에 묶여 있고, 관심도가 돈을 버는 양을 좌우한다는 건 생각해보면 꽤 미친 일이죠. 그리고 어느 정도 실력을 갖추려면 밈과 트윗의 뉘앙스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건 더 미친 일입니다.

제 경험상 영어 실력은 시그널과 노이즈를 구분하는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하지만 영어만으로 개인의 잠재력을 판단할 순 없죠. 영어를 한 마디도 못하지만 이 업계에서 제가 만난 그 누구보다 더 많이 아는 사람들도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