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sclaimer: 본 보고서의 내용은 작성자의 의견을 반영하고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토큰을 구매 또는 판매하거나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이 보고서에 포함된 어떠한 내용도 투자 조언이 아니며, 투자 조언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됩니다.

1. 체인 위에 곰이 있다. (The chain has a bear on it.)

출처: Olympus DAO

1.1. DAO 커뮤니티에서의 시작: Bong Bears NFT

베라체인의 시작은 Bong Bears NFT 프로젝트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흥미롭게도 당시 DeFi 2.0의 선두주자였던 올림푸스 DAO(Olympus DAO)의 디스코드 off-topic 채널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프로젝트에 대해 스모키가 언급하기 시작; 출처: Bonga Bera 101
Bong Bears 민팅 공지; 출처: Bonga Bera 101
OIP-18에 대한 Smokey의 의견; 출처: Olympus DAO Forum

Bong Bears NFT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계기는 올림푸스 DAO의 "OIP-18: Reward rate framework and reduction" 제안을 둘러싼 논쟁이었습니다. 이 제안에 반대하던 PatchoEscobar(현 Smokey The Bera)와 Papa Bear(Art Director)는 자신들의 의견에 동조하는 Ohmies(올림푸스 DAO 멤버)들을 위한 특별한 프로젝트를 구상하기 시작했습니다.

Bong Bears NFT의 출시는 21년 8월 27일에 이뤄졌으며, 0.069420 ETH (당시 약 225달러)의 가격으로 107개(100개의 정식 Bong Bears와 6개의 명예 Bears, 1개의 실수로 중복 민팅 된 Bears)의 NFT가 민팅되었습니다.

Olympus DAO 커뮤니티 콜; 출처: Bonga Bera 101

Bong Bears NFT는 올림푸스 DAO 내에서 빠르게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Zeus(Olympus DAO의 CEO & 공동창업자)를 포함해 많은 OG 유저들이 Bong Bears NFT를 자신의 프로필 사진으로 활용하면서 더 큰 관심을 받게 되었습니다.

Based Bears Growth Model (Rebase 계획); 출처: Bonga Bera 101

Bong Bears NFT는 올림푸스 DAO의 리베이스 메커니즘에서 영감을 받아, 새로운 시리즈가 출시될 때마다(리베이스) 기존 홀더들에게 새로운 NFT를 에어드랍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첫 100개의 Bong Bears를 시작으로 Bond, Boo, Baby, Band, Bit, B(미정) Bears까지 각 에포크마다 새로운 시리즈가 추가되며 Genesis부터 Epoch 7까지 총 발행량이 100개에서 9,311개로 증가합니다.

출처: Magic Eden

2021년 10월 17일, Bong Bears NFT를 rebase하겠다는 Bonga Bera Pro를 발표하면서 첫 번째 rebase NFT인 Bond Bears가 출시되었습니다. Bond Bears는 당시 출시되었던 007 시리즈 “No Time to Die”의 Bond 밈 컨셉이였고, 다음 리베이스 NFT인 Boo Bears는 2021년 10월 29일에 할로윈 컨셉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Baby Bears가 2021년 12월 16일에 크리스마스와 휴일 컨셉으로 출시되었습니다.

Bong Bear #79 and Baby Bear #84; 출처: Bonga Bera 101

각 리베이스 NFT는 단순한 디자인 변경을 넘어 특별한 스토리와 컨셉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특히 Baby Bears의 경우, 이전 NFT 시리즈의 아기 버전이라는 히든 피스가 있었고, 이를 알아챈 컬렉터들 사이에서 전체 시리즈를 모으는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이러한 커뮤니티 중심의 발전 과정에서 베라체인 팀은 NFT 프로젝트를 넘어 독자적인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비전을 가지고 다음 단계를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Bong Bears 디스코드 채널에서 베라 체인에 대한 언급 시작; 출처: Bonga Bera 101

2021년 11월 28일 Bong Bears 디스코드에서 베라체인의 개발자 Dev Bear(현 bearmo)는 “Bera chain”이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언급하며, NFT 프로젝트에서 새로운 블록체인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넌지시 알렸습니다.

올림푸스 DAO에서 베라체인 시드 투자 요청; 출처: Olympus DAO Forum

2022년 3월 14일 DevBear는 올림푸스 다오 포럼에 올림푸스 다오가 베라체인 시드 투자에 참여해달라는 제안을 올렸습니다. 베라체인의 가치를 $50M로 가정하여 전체 공급량의 2%를 $500K OHM로 교환하는 제안이었습니다. 4일 후, OIP-87 투표가 시작되었고, 78%의 찬성으로 통과되었습니다.

2. 베라체인의 커뮤니티 위주 성장 전략

2.1. 밈 문화를 통한 초기 커뮤니티 형성 & rebase NFT를 활용한 커뮤니티 활성화

베라체인은 크립토 시장에서 독특한 접근 방식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다른 프로젝트들이 기술적 우수성이나 비즈니스 가치를 강조할 때, 베라체인은 위트 있는 밈 문화를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출처: @berachain

베라체인은 시작부터 “Berachain fixes this”, Berachain isn't real", “fake Chain”, “Henlo”, “Ooga Booga” 등의 다양한 밈들을 만들어내며 사람들의 흥미를 끌어모았습니다. 이러한 밈들은 자연스럽게 입소문을 타고 퍼져나갔고, 크립토 커뮤니티에서 베라체인만의 독특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2 Chainz | Band Bears #1; 출처: Magic Eden

2022년 4월 3일 디스코드 채널이 공개되면서 베라체인은 본격적인 커뮤니티 구축을 시작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디스코드 오픈 직후인 4월 20일에 Band Bears라는 네 번째 리베이스 NFT를 출시하여 새로운 커뮤니티 멤버들에게 참여 동기를 제공했다는 점입니다.

이렇듯 베라체인은 프로젝트를 홍보하고, 커뮤니티를 견고히 하기 위해 밈 문화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였고, 이를 통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Bong Bears NFT와 베라체인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빠져들기 시작했습니다.

2.2.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

베라체인 팀은 커뮤니티와의 소통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습니다.

출처: @berachain

베라체인 팀은 빌딩 초기부터 다양한 파트너들과 AMA와 Space를 진행하며 베라체인을 알리고 커뮤니티의 궁금증을 해소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출처: @berachain

2022년 7월부터 베라체인은 단순한 온라인 소통을 넘어서는 특별한 커뮤니티 이벤트들을 시작했습니다. 디스코드에서 Rap Night, Poker Night과 같은 이벤트를 열면서 사람들과 함께 그들만의 문화를 즐기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이벤트들은 단순한 즐거움을 넘어 커뮤니티 멤버들 간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베라체인만의 독특한 문화를 만드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지금도 다양한 베라체인 생태계 프로젝트들은 특정 상품을 걸고 포커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출처: @berachain

22년 8월부터는 크립토 업계의 주요 팟캐스트에 출연하고 트위터, 디스코드 등 다양한 소셜 미디어 채널을 활용하며 적극적인 마케팅을 시작했습니다.

Bit Bear #131; 출처: Magic Eden

특히 팀원들의 개성 있는 캐릭터를 부각시키고 밈과 유머를 활용한 콘텐츠로 커뮤니티와 활발히 소통했으며, 이 시기에 Bit Bears NFT를 서프라이즈로 출시하며 기존 홀더들에 대한 보상도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전략적 마케팅과 커뮤니티 중심의 활동은 베라체인의 인지도를 크게 높이는데 기여했습니다.

베라체인은 곰 캐릭터와 밈 문화를 중심으로 한 일관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면서도, 친근함과 전문성의 균형을 유지했습니다. 다양한 이벤트와 보상을 통해 커뮤니티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했고, 멤버들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고 반영했으며, 전략적이고 단계적인 정보 공개로 기대감과 신비감을 유지했습니다. 이러한 커뮤니티 중심의 전략들은 베라체인이 단순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넘어 강력한 커뮤니티 문화를 가진 생태계로 성장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3. 베라체인의 폭발적 성장과 글로벌 확장

3.1. 대규모 투자 유치와 기술적 도약

Berachain Private Round 투자 발표; 출처: @berachain

베라체인의 진정한 도약은 23년 4월 21일 Polychain Capital이 주도한 4,200만 달러 규모의 프라이빗 라운드 투자 유치 소식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베라체인이 단순한 커뮤니티 프로젝트를 넘어 진지한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베라체인 첫 번째 테스트넷 Artio 공개; 출처: @berachain
ETH Denver에서 진행한 Berapalooza 이벤트; 출처: @berachain

2024년 1월, 베라체인은 첫 번째 퍼블릭 테스트넷 "Artio"를 공개하며 기술적 실체를 드러냈습니다. 또한 1월 31일 Eth Denver에서 첫 오프라인 이벤트를 개최하며 '온라인 밈'에서 '현실의 프로젝트'로 진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출처: @berachain

2024년 4월, 베라체인은 BREVAN HOWARD DIGITAL과 FRAMEWORK가 주도한 1억 달러 규모의 시리즈 B 투자 유치에 성공합니다. 이는 베라체인의 가치와 잠재력을 글로벌 투자자들이 인정했다는 것을 의미했으며, 이를 기점으로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출처: @berachain

6월에는 두 번째 퍼블릭 테스트넷 "bAtrio V2"를 발표하며 기술적 완성도를 한층 더 높였습니다. 당시 커뮤니티는 2024년 4분기 메인넷 출시를 기대했지만, 이는 후일 'Q5' 밈의 탄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3.2. 글로벌 교육과 확장

The first Beracademy takes place at EthCC on July 9th-10th; 출처: @berachain
출처: Berachain Blog
출처: Berachain Blog

베라체인은 프로젝트의 기술적 이해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시작했습니다. 2024년 7월 EthCC에서는 'Beracademy'를 개최하여 개발자와 사용자들에게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했으며, 자체 교육 콘텐츠 제작을 통해 진입 장벽을 낮추는데 주력했습니다.

3.3. 아시아 시장 공략

출처: @berachain

2024년 하반기, 베라체인은 아시아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9월 한국 블록체인 위크(KBW) 참가를 시작으로 베트남, 방콕 등 주요 아시아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베라체인을 알렸습니다.

출처: 코리안베라즈

특히 한국에서는 베라체인의 아시아 순회를 기점으로 'Korean Beras'라는 새로운 커뮤니티가 형성될 정도로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출처: @berachain, @KaitoAI, Magic Eden

베라체인의 영향력은 주요 웹3 플랫폼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바이낸스 월렛과의 협업은 더 넓은 사용자층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했고, 이는 바이낸스 상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어졌습니다. 더불어 Kaito의 베라체인 Yapper 리더보드 출시와 메직에덴의 베라체인 지원 발표 등, 영향력 있는 웹3 프로젝트들이 잇따라 협업을 선언하면서 베라체인 생태계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더 고조되었습니다.

4. 거대한 베라체인 생태계

베라체인 생태계 Dapp 정리; 출처: Messari
베라체인 생태계 Dapp 정리; 출처: Messari

2024년 10월 Messari 보고서는 베라체인 테스트넷에 270개 이상의 생태계 디앱이 구축되어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다른 어떤 블록체인도 테스트넷 단계에서 달성하지 못한 전례 없는 성과입니다.

출처: @berachain

베라체인 재단은 이러한 폭발적인 생태계 성장을 더욱 가속화하기 위해 2024년 10월에 디앱들과 커뮤니티가 유저들에게 BERA 인센티브를 줄 수 있도록 하는 Broposal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특히 Broposal 프로그램은 테스트넷 환경에서 실제 유저들이 다양한 디앱을 경험할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 개발자들이 실제 사용자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메인넷까지 이어져 메인넷 런칭 이후에도 유저들의 참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신규 유저들을 유입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도 작용합니다.

출처: @berachain

베라체인의 방대한 생태계와 견고한 커뮤니티의 시너지는 '69hrs of Beramas' 이벤트에서 특히 돋보였습니다.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아 기획된 이 이벤트는 베라체인 생태계의 다양한 프로젝트들과 커뮤니티 멤버들이 서로를 축하하고 알리는 특별한 기회였습니다. 69시간 동안 진행된 이 행사는 각 프로젝트들의 개성 있는 축전을 통해 생태계의 다양성과 활력을 효과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5. Boyco로 거대한 유동성 확보

Boyco는 Royco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메인넷 출시 전, 다양한 메인넷에서 유동성 공급자와 협상을 통해 베라체인 디앱들이 메인넷 런칭 당시부터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인센티브 기반 유동성 시장 프로그램입니다.

출처: @berachain

5.1. Pre-Boyco의 폭발적 성공

2024년 12월 29일, 베라체인은 롬바드, 스테이크 스톤 등 주요 파트너들과 함께 Pre-Boyco를 시작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3B 규모의 유동성을 유치하는 놀라운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테스트넷 단계에서 이루어낸 전례 없는 성과였으며, 베라체인 생태계에 대한 시장의 높은 기대감을 반영했습니다.

출처: @berachain

2025년 1월 21일, 베라체인은 정식 Boyco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런칭했습니다. 이는 Pre-Boyco의 놀라운 성과에 이은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였으며, 메인넷 출시가 가까워졌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커뮤니티는 'Q5'라는 밈과 함께 메인넷 출시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켰습니다.

6. Real Q5, Mainnet Launch

출처: Honeypaper

2025년 2월 4일, 베라체인은 새로운 백서인 Honeypaper를 공개하며 프로젝트의 기술적 비전과 로드맵을 상세히 공유했습니다. 이어서 다음 날에는 그동안 큰 관심을 받았던 에어드랍 체커와 비공개로 유지되었던 토크노믹스를 공개함으로써, 프로젝트의 경제적 구조와 보상 체계를 명확히 했습니다. 이로써 베라체인은 오랜 기간 준비해온 모든 핵심 요소들을 공개했고, 커뮤니티는 곧 있을 메인넷 발표만을 기다리게 되었습니다.

출처: @berachain

2025년 2월 6일, 베라체인이 드디어 메인넷을 공개하면서 오랫동안 밈으로 불리던 'Fake Chain'이 마침내 'Real Chain'이 되었습니다. 메인넷과 함께 공개된 PoL(Proof of Liquidity) 메커니즘은 베라체인 생태계의 성장을 가속화할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미 테스트넷에서 검증된 270개 이상의 디앱들이 실제 환경에서 구현될 준비를 마쳤습니다. 특히 밈과 유머를 통해 형성된 베라체인만의 독특한 커뮤니티는 메인넷 이후 더욱 끈끈한 유대감을 형성하며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자료